본문 바로가기

Eric&Lina

논리적 글쓰기① - ‘시니피에’와 ‘시니피앙’

반응형

글쓰기 능력을 키우는 것만큼 어려운 일도 없다.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고 하지만 말처럼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데 이 글쓰기에 ‘논리적’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고, 심지어 최근에는 ‘창의’ 말을 붙여 ‘창의적 논술’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사실 본질을 놓고 본다면 문학이나 비문학이나 글쓰기는 모두 ‘논리적’이다. 언어(言語)라는 것이 원래 논리적으로 결합된 기호 체계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그 약속된 기호 체계로 세상을 이해한다. 네모나고 다리가 네 개인 물체를 보면 우리의 뇌는 그 이미지를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그것을 기억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학습되어온 언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우리는 그것을 ‘책상’이라고 기억하고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사람은 학습된 언어 체계로 제작기 다른 세상을 인식하게 된다. 구조학적으로 본다면 우리나라 사람이나 미국 사람이나 뇌나 귀, 입의 구조가 다르지 않으며 ‘닭 우는 소리’가 다를 리 없지만 우리가 ‘꼬끼오’라고 인식할 때 미국 사람들은 ‘카커두들두’라고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언어학적으로 본다면 원래의 세상 속의 사물을 ‘시니피에(Signfie, 실체)'라 하고, '책상'이나 ’꼬끼오‘이라고 표현되는 것을 ’시니피앙(Signfiant, 표기)'이라고 이야기 한다. 그래서 글쓰기라는 것은 ‘시니피에’와 ‘시니피앙’을 가장 효과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일이라고 할 수 있고 그런 면에서 문학이나 비문학이나 모두 글쓰기라는 것은 ‘논리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은 글쓰기처럼 전혀 논리적이지 않다. 감정적인 말로 꼬투리를 잡거나 감정적인 공격으로 화를 돋우거나 말꼬리를 자주 잘라 힘 빠지게도 한다. 지성(知性)에 의지하지 않고 감정(感情)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개인이 감정에 의지해 욕설이나 실언을 해도 문제가 되는 법인데 사회가 감정에 의지하게 되면 사회 전체가 혼란스러워지기 마련이다.

논리적인 주장을 위해 나온 사람을 감정에 의지해 무작정 ‘유모차 부대’라고 표기한다면 말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감정에 의지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감정에 휩싸여 쓰는 인터넷 댓글 또한 사람을 다치게 하는 것이다.



글을 읽고 글을 쓴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세상을 인식하고 논리적으로 나를 표현하는 일이다. 바르게 글을 읽고 바르게 글을 쓰는 사람들이 모인 사회가 될 때 혼란을 부추기는 감정적인 사회가 아니라 창의적이고 안정적인 사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 이우/ (前)이우통합논술 원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