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월 10일!

간호조무사 시험이 이제 28일 남았습니다.

사실, 명절이 껴 있고 거기에 주말을 어영 부영 빼면 20여일 남았다고 봐도 무방하겠네요.

학원에서도 매일 날짜를 알려주지만 저 스스로도 늘 생각하려고 

휴대폰 메인에도 표시를 해뒀습니다.

여러가지 어플이 많이 있던데 제가 쓰는건 Day Day 라는 어플입니다.

사용법도 간단하도 단순해서 그냥 쓰고 있어요^^ 

여러개를 노출할 수 있다는데 지저분해서 그냥 시험 일자 하나만 나오게 해뒀습니다. 





휴대폰 메인에서 아래로 내리면 위의 사진처럼 설정해둔 날짜가 매일 바뀌어져 나옵니다.

여기에 중요한 날짜들 여러가지가 한번에 노출 되는 것도 가능하던데 저는 일단 시험 날짜만! 




위의 사진은 어플 들어 갔을 때 나오는 화면 입니다.

우선은, 시험 날짜와 합격자 발표일!!!!!!!!!!! 

왼쪽 노란 사진 아래는 D-20일, 또는 D-30일이 되기까지는 며칠 남았다! 이런 표시입니다.


더 좋은 어플 쓰시는 분들 계신가요? 저한테도 알려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친환경운전을 위한 일반상식입니다.

신호대기 때는 전조등을 끈다.

 

밤길 신호 대기중일 때 무심코 전조등을 끄는 운전자가 많습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교통법규에 부합하고 운전 에티켓이라 생각하는 분들이 있으나 이렇게 할 경우 재출발시 전조등 켜는 것을 잊어 버리고 운행하다가 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신호 대기중일 때는 그대로 켜두는 게 좋습니다. 단, 신호 대기순서가 차량의 맨 앞에 위치한다면 상대편 차선의 차량에 눈부심이 생기지 않도록 배려해주는 에티켓은 지켜야 하겠지요. 하지만 재출발시 전조등 켜는 것 잊지 마세요!

겨울철 워밍업은 5분이상 해야한다.

 

냉각수 온도계기 바늘이 조금이라도 움직이기 시작하면 워밍업은 이미 끝난 셈이므로 바로 출발하면 됩니다.
아무리 추워도 5분정도면 되므로 지나친 워밍업은 기름 낭비만 초래합니다. 대부분의 공회전은 1분 가량이면 충분합니다.

급가속 출발은 무조건 연비를 나쁘게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출발시킬 때 급가속을 하거나, 차량 정지시 급제동을 하게되면 자동차의 연비가 나빠지기 때문에 출발과 제동을 부드럽게 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급가속 출발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연비가 오히려 좋아진다고 합니다. 자동차의 연비가 가장 좋은 최적의 속도는 70km/h라고 하므로 자동차를 빠른 시간내에 최적의 속도로 올리고 차량의 탄성에 의해 운전을 하는 것이 천천히 출발시켜 적정 속도인 70km/h가 되는 것 보다 연료의 손실을 극소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시내주행에 따른 단거리 구간에서는 급가속출발이 오히려 연비를 나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 거리, 도로의 상황에 따라 급가속 출발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무조건 연비를 나쁘게 하지는 않는 것입니다.

새차는 처음에 고속으로 밟아줘야 길이 든다.

 

새 차를 사면 주위에서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 이상 고속주행을 하면서 길을 들여야 한다”는 충고를 흔히 듣습니다. 그래야 엔진 성능이 좋아진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이는 엔진의 재질과 성능이 좋지 않았던 시절에나 통했던 얘기일 뿐 요즘은 필요가 없다는게 자동차 전문가들의 충고입니다. 요즘 나오는 차량 엔진은 전자제어 방식으로 연료 및 공기 주입을 모두 컴퓨터가 해결하는 데다 차량 출고 전에 엔진성능에 대한 충분한 검증 작업과 함께 사전 길들이기를 거치기 때문입니다. 새차의 경우 최초 2,000㎞까지는 조심해서 다뤄야 합니다.
과속, 급가속, 급제동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부터 고속으로 밟으면 오히려 엔진, 변속기, 섀시 등 주요 부품에 무리를 주어 차가 쉽게 노화됩니다.

기어를 중립에 놓으면 기름이 덜 먹는다.

 

차량이 정지상태일 때 기어를 중립에 놓으면 기름을 덜 소비한다는 생각은 자동변속기 차량 운전자들이 가장 범하기 쉬운 잘못된 운전습관입니다. 신호등이 바뀐 뒤 주행(D)으로 옮기고 갑자기 액셀레이터를 밟으면 연료 소모량이 훨씬 많아집니다. 또 차량 엔진에 과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엔진 수명 단축의 원인도 됩니다.
다만, 차량 정차 시간이 너무 길 때는 중립에 놓고 기다리는 게 좋겠지요.

내리막 길에서 시동을 끄고 운전하면 연료가 절약된다.

 

브레이크는 엔진의 진공을 이용한 배력장치의 힘으로 제동력이 생깁니다. 따라서 시동을 끄면 엔진에 진공이 안 생기고 배력장치도 작동되지 않아 브레이크 기능이 떨어지므로 매우 위험합니다.

LPG차개조는 아무나 가능하다.

 

일반 휘발유 엔진의 승용차를 LPG연료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는 대상은 장애인이나 국가유공자차량, 관용차량, 렌터카에 한합니다. 개조시에도 시청이나 구청에서 허가를 얻어 1, 2급 자동차 정비공업사에서 해야합니다. 또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완성검사와 자동차검사소의 안전검사를 거쳐 LPG,가솔린 겸용차량으로 자동차등록증에 등재한 후 운행해야 합니다.

고속기계 세차는 편해서 좋다.

 

영화같은데서 멋지게 고속기계로 새차하는 것을 많이 봅니다. 그러나 딱딱한 털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차체를 닦는 기계 세차는 눈에 띄지는 않지만 아무래도 차체에 상처가 생깁니다. 몇번 반복되면 차 표면의 작은 상처에 물때나 왁스찌꺼기가 붙어 차 색상이 변하고 광택도 잃게 됩니다.

핸들에 손잡이를 달아야 편리하다.

 

핸들에 부착하는 작은 공모양의 손잡이는 충돌 사고시 운전자의 가슴부위가 핸들에 닿아 매우 위험합니다. 돗자리나 양털시트 등을 운전석에 까는 것도 몸이 쉽게 미끄러져 운전자의 무릎부분이 시동키 부분에 끼여 상처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또한 차량 안에 인형을 줄줄이 달고 다니거나 지프형 차량의 범퍼가드를 폼나게 달고 다니시는 분들이 많은데 범퍼가 드와 같은 중량감 있는 액세서리를 많이 달면 정기검사 때 안전검사에 걸릴 뿐더러 연료소모의 증가로 직결됩니다. 차량 내부의 과중한 액세서리도 안전운전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코너링시 브레이크를 밟으면 위험하다.

 

일반적으로 코너링때 타이어가 슬립하기 시작하면 브레이크를 절대 밟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어떤분들은 어처구니 없게도 슬립하는 반대방향으로 핸들을 보다 격하게 꺽고 액셀레이터를 밟아 빠져 나오려는 시도를 하곤 하는데 운좋게 타이어가 적절한 시기에 슬립을 멈추고, 운전자도 유효적절한 카운터 스티어링으로 난관을 해쳐나갔다면 다행이지만, 흔히 과도한 핸들링으로 도로밖으로 나가 떨어지는 위험을 겪게 됩니다. 이런것은 모두 '코너링시 브레이크를 밟으면 위험하다'는 잘못된 지식을 신봉한 결과입니다. 브레이크와 액셀레이터는 차를 감속 가속을 하는 역할 외에도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의 무게는 앞으로 쏠리게 되고, 반대로 액셀레이터를 밟으면 무게는 뒤로 쏠리게 됩니다. 실제로 전륜구동 승용차가 코너에서 슬립하는 경우는 대부분 앞바퀴가 미끄러져 일어납니다. 결국 코너를 원하는 각도에 못 미치게 도는 '언더 스티어링'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액셀레이터를 밟으면 앞바퀴가 가벼워져 '언더스티어링'은 더욱 과도해지지만 브레이크를 밟으면 앞바퀴에 무게가 쏠리면서 미끄러지는 타이어를 눌러주게 되므로 미끄러지는 타이어도 브레이크로 세울 수 있는 것입니다. ABS가 없는 브레이크를 과도하게 밟는다면 타이어가 LOCK되어 차는 조종성을 잃게 되는것이 사실이나, 적절한 브레이킹은 슬립되는 타이어를 멈추도록 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신차 엔진오일은 1,000km 주행 때 갈아야 한다.

 

신차를 구입한 뒤 엔진오일은 빨리 갈아주는 게 좋다는 것이 속설입니다. 그러나 옛날 엔진은 마모량이 많아서 엔진오일을 빨리 갈아주는 게 좋았지만 지금은 엔진의 재질과 성능이 달라졌기 때문에 신차의 엔진오일은 5,000㎞ 주행시 갈아주면 충분합니다.

고갯길내리막에서 기어를 중립에 놓으면 연료 절약할 수 있다.

 

이는 예전의 카브레이터 차량의 경우에는 해당될 수 있으나 최근에 MPI차량에는 해당되지 않읍니다. 연료를 ECU에서 엑셀레이터의 계폐정도에 따라서 연료량을 조절하므로 엑셀페달을 밟지 않으면 연료가 들어가지 않습니다.(시동이 꺼지지 않고 각종 기기가 정상작동할 정도의 미세한 량만 공급합니다) 중립시에는 브레이크나 기타 조향장치가 작동하지 않아서 위험하므로 기어를 중립에 위치시키지 마십시오.

 

 

출처 : https://www.mecar.or.kr

반응형
반응형

 

2017. 1. 16() 조간용

 

이 보도자료는 2017115일 오전 11:15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

 

 

 

 

 

 

 

담당부서 :

재무국 세무과

세 무 과 장

임출빈

2133-3350

 

 

 

세입총괄팀장

최한철

2133-3382

 

부동산세팀장

배정희

2133-3391

사진없음

사진있음

매수: 6

담 당 자

서범하

2133-3392

 

김의중

2133-3384

 

 

 

 

 

 

 

서울시, ''자동차세 1월에 앱으로 연납하고 10% 감면받자''

- 16전국 최초 서울시세금납부(STAX)’ 앱 통한 연납 신고납부 서비스

- 기존 2회 나눠 내던 것에 한정되던 것을 연납110% 감면혜택 손쉽게

- ActiveX 설치, 공인인증서, 회원가입 없이도 초간편 이용 가능

- , 전년도 선납신청 차량 95만 대(2,063)에 자동차세 납부서 발송

 

 

1년치 자동차세를 한 번에 미리 납부하면 10% 감면받을 수 있는 1. 서울시가 지방세 납부 애플리케이션인 서울시세금납부(STEX)’를 통해 자동차세를 연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전국 최초로 16() 실시한다.

 

’16년 기준 서울시 자동차세 연납 신고납부 차량이 전체 등록차량2886천여 대의 32%를 차지하는 가운데, 이제는 서울시에 자동차를 등록한 시민이라면 스마트폰 앱을 내려받아 설치한 후 간편하게 신고납부할 수 있다. 따로 시간을 내서 구청이나 은행을 방문하거나 컴퓨터 앞에 앉지 않아도 된다.

특히, ActiveX 설치나 공인인증서, 회원가입 없이도 성명, 주민번호, 차량번호만 입력하면 바로 납부가 가능하다. 결제수단도 계좌이체(우리은행), 신용카드(13개사), 간편결제(카카오페이, PAYCO, SSG페이, 앱카드) 등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자동차세를 선납한 후 다른 시도로 이사하더라도 새로운 주소지에서 자동차세를 다시 내지 않아도 되고, 자동차를 폐차하거나 양도한 경우에는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사용일수를 제외한 잔여기간만큼의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다.

 

기존에도 서울시세금납부(STEX)’ 앱을 통해 자동차세를 납부할 수 있었지만 매년 2(6, 12) 정기적으로 나눠서 내는 경우에만 한정돼 있었다. 납부방법도 고지서의 QR코드를 앱을 통해 스캔한 뒤 처리하는 방식이다.

 

시는 자동차 연납 신고납부자의 약 90%30~60대이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납세자도 30~40대에 몰려있는 만큼, 스마트폰을 활용한 이번 서비스를 통해 연납 신고납부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서비스는 자동차세 연납 신고납부기간인 1(1년분의 10% 감면), 3(1년분의 7.5% 감면), 6(하반기분의 10% 감면), 9(하반기분의 5% 감면) 중에만 운영된다. 1월은 16()~31() 휴일을 제외하고 평일 7~22, 토요일 7~15시에 이용 가능하다.

이용시간이 제한되는 것은 국토해양부의 자동차망 조회가능 시간에 따른 것이다.

자동차세가 10만 원 미만인 경우 연 1(6)만 부과되기 때문에 6, 9월 연납신청은 할 수 없다.

 

앱 이용 말고도 기존처럼 구청에 방문하거나 서울시 인터넷 지방세 납부시스템인 ETAX(etax.seoul.go.kr)를 통해서도 신고납부할 수 있다.

구청 방문 : 구청 세무과 방문 신청서 작성·제출 접수·고지서 수령 은행 등 방문 납부

ETAX 이용 : 서울시 ETAX 접속(etax.seoul.go.kr) 메뉴접속(신고납부/자동차세연납) 신청 바로납부

 

서울시는 시민들의 납세 편의를 위해 지난해 자동차세를 선납했거나 구청에 선납을 신청했던 58만 명, 95만대 차량에 대한 자동차세 연세액 납부서를 지난 12일 발송을 완료했다. 지난해 94만 대 2,023억 원보다 40억 늘어난 총 2,063억 원 규모다.

작년에 자동차세 선납 납부서를 받고서 납부하지 않았거나, 차량을 폐차하거나 양도한 경우 올해 발송대상에서 제외했다.

 

한편, 서울시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자동차세를 연납 신고납부한 차량은 927천 대로, 전체 등록차량 2886천 대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동차세를 연납해 공제된 세금총액은 274억 원으로 차량 1대당 평균 3만 원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차량별 세금 혜택 예시>

차량

연세액 선납시 공제되는 자동차세(단위:, 신규차량 기준)

산출세액

선납시 공제액

납부할 세액

아반떼 (1498)

272,630

27,270

245,360

SM 5 (1,998)

519,480

51,950

467,530

그랜저 (2,398)

623,480

62,350

561,130

 

임출빈 서울시 세제과장은 서울시세금납부(STEX)’ 앱을 통한 자동차세 연납 신고납부 서비스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세금납부 증가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써 회원가입 등의 복잡한 절차 없이 터치만으로 세금을 납부할 수 있다특히 1월에 납부할 경우 1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만큼 많은 시민들이 이용해 혜택을 받길 바라며, 앞으로도 앱을 통해 납부 가능한 세목을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rubbish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시험 D-28일, D-Day 알려 주는 어플  (0) 2018.02.10
잘못된 차량상식  (0) 2018.01.25
역린 OST 백지영 불꽃 & 중용23장  (0) 2014.05.17
반응형

 

 

<중용 23장>

其次는 致曲 曲能有誠이니

誠則形하고

形則著하고

著則明하고

明則動하고

動則變하고 變則化니

唯天下至誠이아 爲能化니라

 

작은일도 무시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작은일에도 최선을 다하면 정성스럽게 된다.

정성스럽게 되면 겉에 베어 나오고

겉에 베어 나오면 겉으로 드러나고

겉으로 드러나면 이내 밝아지고

밝아지면 남을 감동시키고

남을 감동시키면 이내 변하게 되고

변하면 생육된다.

그러니 오직 세상에서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