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ssistant nurse

간호조무사 - 모성간호

반응형

모성간호(산과) 

1. 임신의 요소

임신은? 수정난 또는 발육하고 있는 태아를 체내에 가지고 있어 모체와의 사이에 생물학적 관계를 갖고 있는 상태

1) 정자: 남성의 성샘인 고환에서 생성 -> 올챙이 모양, 1회사정으로 2~3cc 2~3억마리 정액배출

정자의 수명 - 질내 4~8시간, 자궁내3일 정도생존, XY염색체를 가지고 있음 

2) 난자: 난소에서 생성 (난조세포 -> 일차난모세포 -> 이차난모세포 + 극체 -> 난자 + 극체 -> 난자)

-> 구형, 직경 0.25mm(세포중 가장 큼), 매월 교대로 1개씩 배출 (월경전 12~16일사이), 수명(1

3) 배란과 월경

배란: 뇌하수체 전엽의 성선자극호르몬의 영향으로 1개의 난자가 매월 복강내로 배출되는 것

(원시난포 -> 난자 + 난포액 -> 난자)

- 일어나는 현상: 기초체온상승, 황체호르몬(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어 수정난이 착상되게 준비

월경: 호르몬의 평형이 깨어지고 쇠퇴함으로써 자궁내막에 기저층만 남기고 박리되어 혈액과 분비물이 배출되는 현상  **- 일어나는 현상: 배란후 14, 체온하강, 월경주기 25~35, 월경량 50~100cc  

4) 수정과 착상

수정: 난관의 약1/3가량 지점에서 수정(난관 팽대부) -> 수정난의 구성: 22쌍의 보통염색체, 1쌍의 성염색체(XY,XX)  

2. 임신의 따른 변화

1) 생식기의 변화

- 기능면: 성샘, 생식통로, 부속샘, 접합기관  - 위치면: 바깥생식기 - 불두덩, 대소음순, 음핵, 전정망울, 질전

속생식기 - 난소, 난관, 자궁,   - 부속샘: 큰전정샘, 작은전정샘, 유방  

. 해부생리: 처녀막 ~ 자궁입구(8~9), 역할-<월경배출, 성교, 산도> 유산간균의 존재, 산성pH 4.5~5.5유지

. 임신시의 변화: 자색으로 변하고 부드러워짐 (채드윅증후군- 임신6주경에 나타남)

pH 5.5~6.5 정도유지, 질에 염증이 일어남  

자궁

. 해부생리: 골반안에 위치, 길이 8, 넓이 5, 두께 3, 무게 50g, 태아가 발육하는 장소

. 임신시의 변화

- 자궁목: 혈관분포가 증가하여 부드러워짐, 에스토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자궁에 있는 세포들이 비대해지고, 증식이 일어나며 결체조직의 부종으로 느슨해지며 부드러워짐 => 굳델증후군 (임신8주에 나타남)

- 자궁: 길이 32, 넓이 24, 두께 22, 무게 1,000g, 용적 4mL ~ 5000mL 으로 커짐

? 에스토로겐 때문으로 기존 근육섬유들이 커지면서 새로운 근섬유들이 생기므로

 

* 임신시 자궁 크기변화 (자궁저부의 높이변환)

16(치골결합과 배꼽중간) -> 20(배꼽 바로아래) -> 24(배꼽보다 약간위) -> 28(배꼽에서 위로 3손가락폭 정도) -> 32(검상돌기 아래 3손가락폭) -> 36(검상돌기) -> 38(34주때 수준으로 내려감)

<P.287 그림-1 참조>

* 하강이란? 태아의 머리가 골반강쪽으로 내려와서 일어나는 현상 초산부 - 분만 2주전 / 경산부 - 진입과 동시 

난관: 수정이 되는 장소 (난관 팽대부) -> 자궁에서 가까운편에서부터 “간질부, 협부, 팽대부”로 구성

임신을 하면? 더 길어지며 정맥혈관이 약 3배정도 확장됨  

난소(배란작용, 내분비작용): 난포호르몬(에스트로겐), 황체호르몬(프로게스테론) 분비, 성기발육, 여성으로서의 특징, 임신의 조절유지  ***임신을 하면? 배란중지  

유방: 임신8주부터 유방은 커지고 민감해지며 찌릿하고 묵직한 느낌이 나타남

=> 몽고메리 결절: 16주부터 본래 있는 젖꼭지판 주위에 2차적 젖꼭지판이 분홍빛으로 나타나는 것  

자궁내 혈관계의 변화: 임신초기의 자궁동맥과 정맥은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더 커져서 혈액공급을 더 받을수 있음, 골반의 정맥들도 확장되고 정맥혈을 많이 보유할수 있으므로 자궁혈액 흐름의 갑작스런 상승이나 하강을 막을수 있다.  

2) 심혈관계의 변화

- 심박출량: 임신 14~16주 증가 --> 32주에 30~50% 증가

- 심박동: 임신 14~20주에 10~15/분로 서서히 증가, 20주이후 혈압이 상승하면 임신성고혈압 의심

- 혈액량: 1,500㎖ 증가, 32~34주에 최고조로 증가(25~40%)

태아와 모체조직에 적당한 수분공급, 분만 산후 혈액 소실에 대비하여 체액을 보충하기 위함  

3) 호흡기계의 변화: 에스토로겐의 영향으로 가슴이 넓어짐, 폐가 자궁압박으로 호흡을 짧게함  

4) 신장계의 변화 (임신초기- 빈뇨현상, 임신성 당뇨병)

: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신장계 평활근이 이완되어 소변의 흐름도 느리고, 정체되는 시간이 길어져 비뇨기계 감염이 일어나기 쉬움 ** => 간혹 소변에 당이 배출되므로 임신성 당뇨병 염두에 두고 당내성 검사 필요  

5) 위장계의 변화: 초기 식욕감퇴, 오심, 구토 -> 진행되면서 식욕증가, 위의 내용물의 역류로 가슴앓이 호소, 변비, 치질이 잘온다.  

6) 신경계의 변화: 골반신경이 눌려 감각의 변화가 온다. 요통, 다리 뒤쪽으로 통증이 오기도 함.  

7) 근골격계의 변화: 자세변형- 배가 불러오면서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가슴부위가 뒤로 젖혀짐 (프라이드 포지션)

  8) 피부계의 변화: 두꺼워짐, 착색(얼굴에 기미생김 “임신마스크”), 복부중앙에 착색된 선이 생김(흑석=임신선)  

9) 내분기계의 변화

태반 단백호르몬: 융모성선자극, 태반락토겐, 융모성 부신피질자극, 갑상선자극호르몬

스테로이드호르몬 :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 융모성선 자극호르몬: 8~10주 최고에 달함 (입덧), 20주 최저치, 소변에서 검사하여 임신여부 진단

. 태반락토겐: 5주에 혈청확인 --> 34~36주까지 증가, 탄수화물과 단백질 대사에 관여 (태반의 증량 결정)

. 에스트로겐(난포호르몬): 임신중 태반에서 생성, 임부소변에 있는 에스트리올량을 측정하여 태반의 기능, 태아의 건강상태 평가

. 프로게스테론(황체호르몬): 태반에서 생성, 임신의 유지 관여  

10) 대사의 변화

체중증가: 10kg ~ 11kg

수분대사: 임신후반기에 특징적으로 볼수 있는 현상 => 태아, 태반, 양수로 인해 3.5ℓ + 혈액, 자궁, 유방 3ℓ = 7ℓ(7,000cc)

단백질대사: 임신시에는 체내에 축적됨

탄수화물대사: 당의 재흡수가 떨어져 당뇨병이 나타나기 쉬움

무지질과 비타민대사: 칼슘, , 마그네슘, 철은 증가, 배설 감소, 비타민 결핍으로 태반괴사, 사산, 유산, 조산, 신생아는 구루병, 괴혈병 발생  

11) 심리적 변화

임신 1= 양가감정 (기쁨 + 성가신 느낌)

임신 2= 임부 “자기중심적” -> 모성정체감

임신 3= 출산에 대한 대비  

3. 임신의 진단

- 증후: 월경진단, 입덧 -> 20(복부증대, 태아윤곽촉진, 자궁의 유연성증가, 임신반응검사)

-> 20주이후 (태아심음 청취, 태동, x-ray상의 태아골격)  

4. 임신기간: 마지막월경부터 약280, 40주간

* 분만예정일 계산법(Naegele 산출법 - 내글레 산출법)

L.M.P + 9개월 + 7 = 12개월이 넘지 않을 때

L.M.P - 3개월 + 7= 합해서 12개월이 넘으면 - 3개월  

5. 임신과 약물투여: 수정후 9주까지는 여러장기가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더 주의해야 함  

(2) 태아

1) 태아의 발육: 평균신장 50, 체중 3

핫세씨 법칙: 자궁안에 태아의 키와 임신기간을 알아내는 방법 (태아의 신장 측정법)

전반기 : (월수)² -> 5개월전 후반기 : (월수) * 5 ) 3개월 - 3 * 3 = 96개월 - 6 * 5 = 30 

사까끼법: 태아의 체중 계산법 전반기 : (월수)³ * 2 후반기 : (월수)³ * 3

) 3개월 - 3*3*3*2 = 54g 10개월 - 10*10*10*3 = 3,000g 

 

2) 태아의 건강 사정 방법

초음파술: 감염, 개인의 손상, 아기의 손상 => 방지, 12주 성별 진단 가능

기본적 검사: 태아의 수, 태위, 태아활동의 기록, 태반의 위치, 양수량..

목적적 검사: 결함이 의심되는 경우

자기 공명기: 생식기, 태아, 태반, 자궁을 포함한 연조직의 단면적 영상 제공

=> 포상기태, 전치태반, 태아기형, 자궁내 성장지연이 의심 될 때

양수천자: 외부에서 바늘을 이용하여 직접 양막을 뚫고 양수를 채취

* 위험성- 태아, 태반, 제대 및 모체손상, 감염 가능성, 유산 가능성

* 목적- 태아의 성숙지표가 되는 레시틴-스핑고마이엘린의 비율을 알수 있음.

양수내의 빌리루빈의 검사를 통해 용혈성 질환 가능성 확인.

산전 태아 심박동 감시기 

2. 태아의 부속물 (난막, 태반, 제대, 양수)

1) 난막: 앏은 막이 여러겹 - 3층막, 외측(탈락막, 융모막, 양막) -> ) 난막질환 = 포상기태

* 양막이란? 반들반들하고 투명하며 탄력성이 있는 것이므로 태아면과 제대를 싸고 있음  

2) 태반: 임신3개월 완성, 태아의 영양공급, 생명유지

-> 자궁면에서 수정란이 착상된 부위로부터 시작하여 모태측의 탈락막과 융모막이 하나가 되는 것

- 역할: 산소공급, 호르몬 생성(임신 보호), 노폐물 교환 작용 - 무게: 태아 체중의 1/6 (500g)  

3) 제대(태줄): 태아와 태반을 연결한 것. 표면은 양막, 제대동맥 2(노페물배출), 제대정맥 1(영양공급)

태아에 혈액 및 영양을 운반, 노폐물을 모체로 이동  

4) 양수: 양막강을 체우고 있는 액체  

* 양수의 역할

외부자극으로부터 태아 보호태아의 운동을 자유롭게 한다.

난막과 태아체부와의 유착을 방지태아에게 균일한 체온을 유지

분만시 산도를 윤활 (세정 작용)  

(3) 고위험 임신

1. 임신오조증: 정상적인 임신시의 입덧보다 매우 심해 임부의 건강을 해칠수 있음

- 증상: 6~12주 이상 지속되는 입덧, 오심과 구토, 탈수 및 기아상태, 입안의 백태, 빈맥, 발열

- 치료 및 간호: 적절한 영양분과 수분공급, 약물투여 (진정제)  

2. 임신 초반기의 출혈성 합병증

1) 유산 : 생존 가능성이 없는 태아가 모체 밖으로 배출

- 정의: 태아 무게 500g이하, 제대기간 20주이하, 초기12, 후기12~20, 28(7개월)미만

- 분류: 자연유산 - 절박, 불가피, 불안전, 완전, 계류 유산

유도유산 - 치료적 유산, 범죄유산

- 원인: 조기유산 - 태아결합 / 후기유산 - 모체결합, 외적요인

- 증상: 출혈, 복통, 발열  

2) 자궁외 임신: 수정란이 자궁내막 이외 부위에 임신이 됨 * 가장흔히 일어나는곳: 난관임신 > 난소 임신 > 복강 임신

- 원인: 수정란 이동장애 및 난관통과지연, 수정란 자체이상

- 증상: 복통 및 견갑통, 무월경, 비정상적인 출혈, 빈혈, 저혈압과 빈맥, 배꼽주위가 청색으로 변함 (쿨렌징후)  

3) 포상기태 (난막질환) : 영양배엽이 비정상적인 증식을 일으켜 작은 낭포를 형성

- 호발인자: 다산부, 다태임신 여성(태아가 2인이상..)

- 진단: 융모성선자극호르몬 검사, 태아심음, 초음파 검사

- 치료 및 간호: 소파술(3개월이전), 자궁적출술(3개월 이후), 주기적인 융모성선자극 호르몬검사(1회씩 3-> 1개월에 1회씩 6-> 2개월에 1회씩 6개월 -> 6개월에 1회씩), 화학요법(항암치료), 치료 후 1년간 피임

4) 자궁경관무력증: 임신 2~3기초에 통증없이 경관이 열리고, 난막이 탈출되거나 파열되고 태아가 만출 되는 것

  3. 임신 후반기의 출혈성 합병증

1) 전치태반 = 모체에 위험(출혈로 인해)

- 정의: 태반이 자궁하부에 착상하여 자궁경내구를 전체 or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것 (모성사망률의 10% 차지)

- 분류: 완전전치태반, 부분전치태반, 변연전치태반, 하위전치태반

- 증상: 무통성 질출혈 (임신7개월이후) - 치료 및 간호: 대기요법, 제왕절개술  

2) 태반조기박리 (조기박리시 태아가 나오고 태반이 나옴)

- 정의: 정상적인 태반의 일부 or 전체가 임신후반기에 자궁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 (태아 사망률의 76%)

- 분류: 외출혈형, 은닉출혈형   - 원인: 원인불명

-> 소인: 고혈압과 관련된 질병, 자궁종양이나 기형, 약물부족, 외상, 엽산부족    

4. 임신과 관련된 고혈압성 장애

- 임신성 고혈압: ① 단백뇨나 부종없이 고혈압만 있는 경우 자간전증만 있는 경우 자간증이 있는 경우

- 만성 고혈압: 임신 20or 분만 6주후에 발생하여 계속 나타나는 경우

- 만성 고혈압에 중복된 임신성 고혈압: 고혈압환자가 임신을 하여 위에 임신성 고혈압 증상이 나타남  

* 임신성 고혈압시 나타나는 증상: 체중중가 -> 고혈압 -> 부종 -> 단백뇨

* 자간전증 - 중증, 경증으로 분류 (증상: 혈압상승, 단백뇨, 부종)

-> 자간전증에 “경련”이 나타나면 자간증

 

- 자간전증에서 자간증이 될 수 있는 위험한 증상: 심한두통지속, 얼굴과 손가락부종, 현기증 or 시야가 흐려짐, 계속적인 구토, 요량의 급격한 감소, 심와부통증

- 치료 및 간호: 산전관리를 통한 조기발견, 증상이 있으면 주2회 통원치료, 고단백, 저염식이 섭취,진정제 투여

- 입원시 간호

* 입원기준: 고혈압이 150/100mmHg 이상, 단백뇨가 0.5g/24시간 지속

* 간호: 절대안정, 기도유지, 동공반사확인, 소변검사, 체중측정, 수분섭취량/배설량 기록(I/O Check),

약물투여(항경련제, 진정제, 항고혈압제)

- 경련시 간호(자간증이 나타날 때): 좌측위 유지(흡입 방지), 설압자로 기도유지, 시간당 요배설량 측정(핍뇨현상 확인)

  5. 다태임신

- 정의 이란성 쌍둥이: 2개의 난자에 정자가 들어가 수정됨

일란성 쌍둥이: 1개의 난자에 정자가 수정되었으나 분할과정에서 두개의 배아가 된 것

- 진단: 초음파 검사 (임신 10주경이면 확인 가능)

- 합병증: 임신성고혈압(3~4배 증가), 조기분만과 자연파막/조기파수(7)  

6. 양수이상증: 말기의 정상 양수량은 800 ~ 1,200,

양수과다증 양수량 2,000㎖이상, 양수과소증 양수량 500㎖이하 

7. 내과적 질환

1) 당뇨병(DM)

- 위험성: 비뇨생식기 감염의 발생증가, 거구증태아 출생증가, 자간전증 발생(4), 양수과다증발생, 선천성 기형발생(2~4)

- 임신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인슐린에 길항작용을 함(저하시킴), 세뇨관의 당 재흡수률이 감소하여 당뇨를 나타냄

- 치료 및 간호

-> 산전관리: 식이요법 (1,800 ~ 2,000cal), 적절한 인슐린주사, 구강혈당성 약물 사용금지

-> 산후관리: 경구피임제 or 피임장치의 사용금지

* 참고사항: 열량섭취 - 일반인(2000cal) -> 임산부(2300cal) -> 수유부(2700cal)

2) 심장질환

- 위험성: 모성사망원인중 4 ~ 5(모성사망원인순위 - 임신중독증 > 출혈 > 감염)

- 심장대상 기능부전의 증상 (임신 5개월이후 사망률 높다)

: 점진적인 심부전증, 급격한 심부전증

- 치료 및 간호: 상기도 감염의 예방 (감기, 기관지염, 폐렴...)  - 산후관리: 복대사용, 압박대사용

  3) 빈혈

철분결핍성 빈혈: 임부의 20%가 빈혈 이중에 90%가 철분결핍성 빈혈임

엽산결핍성 빈혈: 신선한 채소나 다량의 동물성 지방이 함유된 음식 섭취부족 

4) 감염성 질환: 톡소플라스마증, 풍진, 거대세포 바이러스증, 헤르페스형 감염증,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감염증 

(4) 분만

1) 분만에 대한 이해: 태아와 그부속물이 자궁수축으로 인하여 산도를 따라 질강 밖으로 만출되는 전과정

2) 분만의 요소(3P)

태아: 태아와 그 부속물인 태반, 양수 (만출 물질)   산도: 골반강, 자궁, 질강

만출력: 복압 + 항문거근의 수축력 --> 이상 3P    심리적 반응

산부의 자세: 일어서서 걷기, 쭈그리기등 중력에 의해 태아머리 하강영향  

3) 분만기전: 진입 -> 하강 -> 굴곡 -> 내회전 -> 신전 -> 외회전 -> 만출 (7단계)

4) 분만의 전징 및 감별: 태아하강감, 태동감의 감소, 가진통, 빈뇨, 이슬, 체중감소 

2. 분만과정

1) 분만 제1(개구기): 자궁수축이 규칙적으로 시작해서 경관이 완전히 열릴때까지(10)말함

- 자궁수축: 간격 짧아지고 강도가 차차 강해짐

- 태포가 파열되어 20 ~ 30cc 전양수가 나옴 => 파수(태아 산도의 윤활제 역할)

초산부: 거상후 12 ~ 14시간후 개대후 오픈 **경산부: 7~8시간후 오픈, 거상과 개대가 동시에 이루어짐

* 거상: 자궁경관부가 얇아져서 마치 종이장처럼 되어가는 것

- 치료 및 간호

. 산모측: 진통의 구분(진진통과 가진통), 출혈여부, 활력증후

진통촉진, 조기파수, 급속분만을 예방 초기에 관장 => 산도오염방지 (진행이 많이 되었을때는 관장금지)

소화 잘되는 영양있는 유동식의 섭취

. 태아측

태아 심박동수의 사정 - 심박동 120 ~ 160/  태아 곤란증에 대한 간호제공 - 좌측위, 유도분만  

2) 분만 제2(만출기): 자궁경관이 완전개대 ~ 몸체가 만출되는 시기

- 불수의적 자궁수축 + 산모의 복부압을 이용

-① 배림: 자궁수축시 아두의 일부가 보였다가 진통이 소실되면 질내로 들어가 안보임

-② 발로: 수축이 없을 때도 아두가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계속 보이는 것

-③ 태아 만출 : 자궁 수축이 정지

- 치료 및 간호

. 산모측: 복압제공과 휴식의 적절한 유지, 회음보호

아두가 발로될 때 산모에게 힘(복압)을 주는 것을 금지, 회음열상이 불가피하면 측방절개술 시행

. 신생아 간호: 구강 흡입을 통한 분비물 제거

태변착색 정도관찰, 눈간호 (임균성 안염을 예방하기 위해 1% 질산은(AgNO₃)을 점적)  

3) 분만 제3(태반만출기)

- 과정: 태반박리기(산모복압 종용후 서서히 만출) -> 태반만출기(조직의 결손여부, 태반혈관 단절확인)

- 치료 및 간호

. 산모의 사정: 산도의 열상확인, 출혈유무, 자궁수축상태, 활력증후사정 (T.P.R check)

. 태반의 사정: 정상태반(무게 500g, 직경 1.5~2.0, 두께 1.5~3.0), 태반결손여부 확인  

4) 분만 제4

자궁저부의 위치확인오로(,색깔)확인회음부의 상태(부종,혈종)

혈압(약간 높으나 1시간내에 정상으로 돌아옴) ⑤ 맥박방광팽만 여부확인신생아에 대한 반응  

(5) 고위험 분만

- 종류: 조기분만, 조기파막, 유도분만, 난산 => 질식분만유도, 산과적 수술

* 질식분만시 태아의 건강확인 -> 어떻게 (태아 심음수, 심음의 주기적 양상등..)  

1. 조기분만 : 20~ 38주전에 이루어짐  

2. 만삭전의 조기파막 - 조기파막: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

- 처치 및 간호

임신을 지속시키는 경우: 재태기간이 33주이하로 패혈증이 있는지 관찰하면서 지속

임신을 중지시키는 경우: 재태기간이 34주이상의 경우 질식자연 분만유도  

3. 난산: 분만에 기계적이나 기능적으로 이상이 생겨서 분만진행에 어려움이 있는 것

- 원인: 만출력, 만출경로, 만출물질, 태아

4. 산과적 수술

1) 제왕절개술: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것 -> 질식분만에 비해 위험률은 2

- 원인: 모체측 - 난산, 과거 제왕절개 분만, 태아측 - 태아 저산소증, 거대아

- 수술전 간호: 수술전 검사확인, 피부준비(복부의 검상돌기 ~ 치부까지 삭모),

위장관 준비(수술전관장, 12시간 금식), 도뇨관 삽입(수술당일 아침), 수술전 투약  

2) 흡입 만출술: 흡입기를 태아머리에 고정한후 흡입컵의 줄을 잡아당겨 머리가 잘 나오도록 하는 것

- 선행조건: 경관이 10㎝ 개대될 것, 방광이 비워있을 것

  3) 겸자 분만술: 겸자를 이용해 견인과 회전을 통해 분만 유도

- 원인: 산모측 - 분만2기가 지연되는 경우, 심장병 or 고혈압이 있는 경우, 태아측 - 제대탈출, 태아질식  

(6) 산욕 : 임신전 상태로 복귀되는 기간으로 6~8주간, 비수유가 수유부에 비해 길다

 1. 산후 신체적 변화

1) 생식기계의 변화

자궁: 태반 만출후 자궁크기도 감소

- 자궁저부: 분만직후 (배꼽아래 5㎝로 올라감) -> 분만 수시간후 배꼽에 도달 -> 분만 9~10일후 골반속을 내려감

* 참고 - 자궁저가 부드럽고 물렁물렁할 때는 자궁이 제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수축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것이므로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 산욕기 전과정이 필요하다.  

2) 내분기계의 변화: 1주후(프로게스테론,에스트로겐등이 임신전 상태로 복귀) -> 비수유 여성 5~6, 수유여성 5~6개월후 월경회복  

3) 순화기계의 변화: 분만 1~2주후에 임신전 상태유지, 4) 호흡기계의 변화: 산후 6개월이상 되어야 되돌아감

5) 비뇨기계의 변화, 6) 위장계의 변화: 산후 2주이내 소화기계의 운동성, 강도회복

7) 피부계의 변화, 8) 신경 근육계의 변화, 9) 활력증후 변화: 빠르고 약한 맥박은 산후 출혈 가능성 주의

10) 심리적 변화  

2. 산욕기 간호 (산욕기 감염의 원인균 -> 연쇄상구균)

1) 사정: 머리카락, 얼굴, (결막이 창백해 보임), 유방, 자궁(부드럽게 촉진시 동통이 없는 것이 정상), 회음부, 하지

* 오로: 적색오로 - 분만후 3일정도 / 갈색오로 - 분만후 4~10일정도 / 백색오로 - 분만후 10~3 

2) 불편감 해소

산후통: 아이를 많이 낳은 부인일수록 더욱 심하다 (다산부), ② 근육통, ③ 회음절개 동통, ④ 유방동통  

3) 산모교육의 제공

성생활과 피임, ② 신욕기 운동 - 조기이상 (약간씩 운동을 하는 것), ③ 신생아 간호, ④ 산후 관찰 - 산후 6주후  

(7) 고위험 산욕  

1. 산후출혈: 정상분만시 200~300cc 출혈, 500cc 이상일때 산후출혈로 인정(위험)

1) 분류: 원발성 산후출혈, 이완성 산후출혈, 열상성 산후출혈, 속발성 산후출혈  

2. 산후감염: 산도내의 모든 세균성 감염, 생식기, 비뇨기, 유방감염

* 산욕열 - 분만후 첫24시간이 지난 후 산욕기동안에 38℃이상의 체온상승이 2회이상 나타나거나 2일이상 지속되는 열  

- 관련요인: 일반적 요인, 분만중 요인, 수술적 요인

 

- 부위별 감염 및 간호

회음부와 외음부의 염증 - 좌욕과 건열 치료로 통증 완화

자궁내막염 - 가장 흔한 산후감염 ->증상 - 오로의 양이 많아지며 암갈색이나 농성 or 거품이 섞이고 악취가 남

골반조직염 or 자궁주위염 - 가장 흔한 합병증

혈전성 정맥염 - 혈관내막의 감염으로 골반혈전성과 대퇴혈전성 정맥염 : <치료법 - 안정유지, 고영양식 섭취, 마사지, 마찰금지>

비뇨기 감염 - 방광합병증 (요폐증, 잔뇨증) : <치료법 - 의사의 지시하에 항생제 투여>

유방감염 -> 유방간호: * 산전유방간호: 하루 두 번씩 닦는다. 유두에 콜드크림 맛사지, 마른수건으로 유두단련, 브레지어지지    * 유두균열간호: 24~48시간 동안 수유를 금함 국소적 치료로 바셀린이 섞인 비타민A,D 연고 바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