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글쓰기 능력을 키우는 것만큼 어려운 일도 없다.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고 하지만 말처럼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데 이 글쓰기에 ‘논리적’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고, 심지어 최근에는 ‘창의’ 말을 붙여 ‘창의적 논술’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사실 본질을 놓고 본다면 문학이나 비문학이나 글쓰기는 모두 ‘논리적’이다. 언어(言語)라는 것이 원래 논리적으로 결합된 기호 체계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그 약속된 기호 체계로 세상을 이해한다. 네모나고 다리가 네 개인 물체를 보면 우리의 뇌는 그 이미지를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그것을 기억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학습되어온 언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우리는 그것을 ‘책상’이라고 기억하고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사람은 학습된 언어 체계로 제작기 다른 세상을 인식하게 된다. 구조학적으로 본다면 우리나라 사람이나 미국 사람이나 뇌나 귀, 입의 구조가 다르지 않으며 ‘닭 우는 소리’가 다를 리 없지만 우리가 ‘꼬끼오’라고 인식할 때 미국 사람들은 ‘카커두들두’라고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언어학적으로 본다면 원래의 세상 속의 사물을 ‘시니피에(Signfie, 실체)'라 하고, '책상'이나 ’꼬끼오‘이라고 표현되는 것을 ’시니피앙(Signfiant, 표기)'이라고 이야기 한다. 그래서 글쓰기라는 것은 ‘시니피에’와 ‘시니피앙’을 가장 효과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일이라고 할 수 있고 그런 면에서 문학이나 비문학이나 모두 글쓰기라는 것은 ‘논리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은 글쓰기처럼 전혀 논리적이지 않다. 감정적인 말로 꼬투리를 잡거나 감정적인 공격으로 화를 돋우거나 말꼬리를 자주 잘라 힘 빠지게도 한다. 지성(知性)에 의지하지 않고 감정(感情)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개인이 감정에 의지해 욕설이나 실언을 해도 문제가 되는 법인데 사회가 감정에 의지하게 되면 사회 전체가 혼란스러워지기 마련이다.

논리적인 주장을 위해 나온 사람을 감정에 의지해 무작정 ‘유모차 부대’라고 표기한다면 말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감정에 의지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감정에 휩싸여 쓰는 인터넷 댓글 또한 사람을 다치게 하는 것이다.



글을 읽고 글을 쓴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세상을 인식하고 논리적으로 나를 표현하는 일이다. 바르게 글을 읽고 바르게 글을 쓰는 사람들이 모인 사회가 될 때 혼란을 부추기는 감정적인 사회가 아니라 창의적이고 안정적인 사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 이우/ (前)이우통합논술 원장

 

반응형
반응형

1) 문제의 파악

문제의 파악이란 곧 문제가 원하는 내용이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포착해서 그 내용을 차근차근 살펴 풀어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제가 어느 것이 옳은지를 묻고 있다면 옳은 것을 가려내고, 원인을 밝히라고 하면 왜 그렇게 되었는지 인과 관계를 살필 수 있어야 합니다.

2) 사실의 이해

사실이란 논의하고자 하는 대상이 지닌 모든 것을 말합니다. 논의하고자 하는 대상은 늘 여러 가지 다른 측면을 지니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살필 수 있어야 제대로 된 논설문을 쓸 수 있습니다. 사실에 대한 이해는 구체적이고 정확한 이해여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3) 해결의 능력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실과 논리에 맞춰 타당한 해결 방안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보통 문제는 설명이나 선택, 규명, 권고 등의 모습이나 비교나 대조 또는 인과 관계의 양상 등으로 해결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문제가 어떤 해결을 요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거기에 맞는 절차를 찾는 것이 관건입니다.

4) 논지의 적절성

의견이나 주장은 남들이 수긍할 만큼 타당한 것이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사실에 근거해야 하고 적절한 논지를 갖추어야 합니다. 논지의 적절성은 과정과 결과 모두에 관계됩니다. 글쓰기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필요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편성을 지녀야 합니다.

5) 논의의 일관성

논점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처음에 화제로 삼은 주제가 샛길로 빠지는 것은 대체로 개요 짜기가 부실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일관성은 단순히 주제면에 있어서만이 아니라, 표기법이나,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해당됩니다.

6) 논거 제시의 적합

논거란 자신의 견해를 밝히기 위해 제시하는 근거로 논거는 논리적 글쓰기의 기본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논거는 우선 확실한 사실이어야 하며 풍부해야 하고 대표성이 있어야 합니다. 논거 없는 주장은 허공을 향해 내지르는 외침이나, 현수막에 걸려 있는 구호와 다름이 없습니다.

7) 논증 방식의 타당성

논증 방식의 타당성이란 규칙과 절차를 얼마나 잘 지키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논증은 추론의 과정을 통해서 완성됩니다. 즉, 연역, 귀납, 유추, 귀류법 등을 잘 이용해야만 타당하고 논리적인 논증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8) 어휘의 정확성과 풍부성

어휘는 문맥에 관계없이 그 자체로 정확해야 합니다. 각 개념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함은 물론 적확한 표현을 뒷받침하는 정확한 표기 능력도 길러야 한다. 적확한 표현은 풍부한 어휘력에 크게 의존함을 유념하여 항상 국어 사전을 가까이 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9) 문장의 정확성과 효율성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려면 올바른 문장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문장이란, 표기가 정확하고 그 뜻이 명료하게 전달되는 문장을 말한다. 또한 문장은 효율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데, 이런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 논리적인 사고 과정이 명쾌하게 드러나도록 문장을 써야 합니다. 불필요한 감탄문이나 의문문의 빈번한 사용과 구어체로 적당히 넘어가려는 문장은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소입니다.

 10) 글의 단위성과 유기성

한 편의 글을 이루는 각 부분들은 그 글에 있어서 꼭 필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야 합니다. 문단은 하나의 소주제를 갖는 단위로서 여러 문장들이 소주제를 중심으로 단단히 결집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각 문단이 제 나름의 생각으로 결집되어 있기는 하되 각 문단은 유기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문단이 하나씩 추가되면서 글을 전개시켜 나갈수록 결론을 향해 접근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 곽원효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life sty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차량관리  (0) 2018.01.25
매일 옥수수 한개, 내장지방 제거에 특효  (0) 2011.08.29
반응형

 

 

<중용 23장>

其次는 致曲 曲能有誠이니

誠則形하고

形則著하고

著則明하고

明則動하고

動則變하고 變則化니

唯天下至誠이아 爲能化니라

 

작은일도 무시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작은일에도 최선을 다하면 정성스럽게 된다.

정성스럽게 되면 겉에 베어 나오고

겉에 베어 나오면 겉으로 드러나고

겉으로 드러나면 이내 밝아지고

밝아지면 남을 감동시키고

남을 감동시키면 이내 변하게 되고

변하면 생육된다.

그러니 오직 세상에서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뱃살, 특히 내장지방을 빼기 위해서는 과일에 많이 함유된 수용성 식이섬유가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하루에 먹는 수용성 식이섬유 10g은 내장지방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것. 이는 각각 찰옥수수 1개나, 키위 5개, 천도복숭아 7개, 미역국 2그릇에 들어있는 양이다.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뱁티스트 의학센터 크리스틴 헤어스톤 교수팀은 1114명을 대상으로 하루 10g 이상의 수용성 식이섬유를 먹게 해 뱃살이 얼마나 감소하는지 CT 촬영해 조사했다. 5년에 걸쳐 추적 조사한 결과, 실험참자가의 내장지방은 3.7% 정도 줄어들었다. 이와 함께 규칙적으로 일주일에 2~4번, 30분 정도 운동할 경우에는 7.4%까지 내장지방이 감소했다.

내장지방은 마른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지방으로 내장 주변 림프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복부의 장기 사이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엉덩이나 허벅지에 지방이 붙는 피하지방과는 달리 내장지방이 많을수록 당뇨병, 심장병 뿐 아니라 고혈압의 합병증이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헤어스톤 교수는 “채소나 과일에 많이 함유된 식이섬유는 다이어트에 좋다. 이 중에서도 수용성 식이섬유는 장내에서 콜레스테롤 등 지방의 흡수를 억제해 내장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는다”며 “이는 고혈압과 당뇨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물에 녹는 수용성 식이섬유는 과일과 해조류에 많이 들어있다. 사과, 바나나, 감귤, 오이나 미역, 다시마 등이 이에 해당한다.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성미경 교수는 “수용성 식이섬유는 고혈압, 당뇨병을 예방할 뿐 아니라 섭취하면 포만감을 많이 주기 때문에 먹는 양을 적게 해 다이어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비만(Obesity)' 저널에 게재되었으며, 사이언스데일리 등이 27일 보도했다.

반응형

'life sty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차량관리  (0) 2018.01.25
서울 둘레길  (0) 2016.0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