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간호조무사 성인간호 - 유방 절제 후 재활운동
어깨 관절 운동과 관련된 머리빗기, 브래지어 잠그기, 줄 올리기, 손으로 벽 기어오르기 등을 해야 한다.
그러나 모래 주머니 들기는 X
운동
- 액와림프절 절제술 후에 시행하는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시켜 림프부종 및 팔 근육의 굳어짐을 예방합니다.
공 주무르기
- 고무공을 손에 쥐고 편다.
- 이때 충분히 공을 쥐고 다시 근율을 이완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 양손 번갈아 가며 시행한다.
팔올리기
- 양손을 앞으로 나란히 자세로 수술한 쪽 손을 반대로 등위로 포갠다.
- 가능한 범위까지 위로 올린다. 약간 당기는 느낌은 정상이며 통증이 느껴지면 중단하고 그대로 내려온다.
- 180도까지 올라가면 머리 위에서 팔을 양쪽으로 펴고 내린다.
등긁기
- 수술받은 쪽 팔을 등뒤로 하여 견갑골 부위가지 뻗는다.
- 이때 손 등을 등 부위로 하고 위 아래로 움직인다.
귀 잡기
- 수술을 받은 쪽 팡릉 위로 올려 머리 정수리를 통과하여 반대편 귀를 잡는다. 이때 머리는 움직이지 않도록 머리 빗는 모양으로 시작한다,
운동시 유의사항
- 운동은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하며, 운동 중 통증이 있거나 피곤한 경우 휴식을 취하십시오.
- 운동은 항상 양쪽 팔을 함께하여 균형을 맞추도록 합니다.
유방암 수술 직후 운동요법
수술 직후 운동은 꼭 해야 하는 것일까요?
유방 절제술 후에는 림프부종, 어깨 관절 운동제한, 근력의 감소, 팔이나 가슴의 통증, 죄임 및 잡아당기는 무거운 느낌, 신경 손상으로 인한 무감각, 저림, 가려움, 따금 거림, 감각 항진, 자세의 이상, 목이나 어깨의 강직, 요통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체적인 증상은 정신 사회적인 영향과 상실감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개인 능력의 범위에서 기능을 최대 화시키는 운동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의 운동은 여러분의 수술직후 팔 운동을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모든 동작은 순서대로 진행하고 수술직후 2-3개월까지 1일 2-3회 꾸준히 시행하십시오. 하지만 개인의 수준에 맞게 무리하지 않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직후 운동의 순서
- 1단계 : 복식 호흡 유방암 수술 후 복식호흡은 근육의 긴장을 풀 어주고 림프부종예방에도 좋은 운동입니다. 먼저 코로 들여 마시고 입으로 뱉습니다. 숨을 들이 마실 때는 아랫배가 볼록 나오 게 하고 숨을 뱉을 때는 아랫배가 들어가게 합니다. 이 동작을 10회 반복하십시오.
- 2단계 : 수술 부위를 이완시키기 위한 마사지 아래의 마사지는 보호자가 환자에게 시행해 주는 것으로 수술직후 팔 운동 전 이완을 돕기 위해 시행합니다. 림프부종이 생긴 후에 시행 하는 마사지는 치료를 위한 전문시술이기 때문에 반드시 재활의학과 전문물리치료사가 시행해야 합니다.
마사지는 매우 천천히 부드럽게 시행합니다.
시행하는 순서가 중요하니 아래의 순서대로 시행합니다.
아래의 예는 오른쪽을 수술한 경우의 예입니다. 왼쪽은 반대로 시행하세요.
환자는 옷을 모두 벗거나 가장 얇은 옷을 착용합니다. 보호자는 손을 따뜻하게 하면 좋습니다.- 보호자는 수술한 오른쪽 등에 손바닥을 대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쓸어주듯이 마사지를 시행합니다. 이때 등을 1/3씩 나누어 3회에 거쳐서 위에서부터 아래의 순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쓸어 줍니다. 이 동작을 5회 반복하십시오.
- ①의 방법과 동일하게 보호자는 수술한 오른쪽 등에 손바닥을 대고 위에서 아래로 쓸어주듯이 마사지 시행합니다. 이때 등을 1/3씩 나누어 3회에 거쳐서 오른쪽에서부터 위에서 아래쪽으로 쓸어 줍니다. 이 동작을 5회 반복하십시오.
- 오른쪽 팔꿈치에서 등까지 부드럽게 쓸어주듯이 마사지를 시행합니다. 이 동작을 10회 반복하십시오.
- 양손을 이용하여 손목에서 팔꿈치까지 쓸어 주듯이 부드럽게 마사지합니다. 이 동작을 10회 반복하십시오.
- 손등에서 손목 위로 부드럽게 쓸어 줍니다. 이 동작을 10회 반복하십시오.
- 마지막으로 손등에서 등까지 한번에 부드럽게 쓸어 줍니다.
- 3단계 : 공운동 고무공을 이용하여 손에 가볍게 공을 잡고 천천히 힘을 주면서 쥐었다 피기 10회를 반복합니다.
- 4단계 : 팔운동 앞으로 올리기 편안하게 누운 후 수술하지 않은 팔을 아래에 두고 수술한 쪽 팔을 위에 두어 천천히 위로 올립니다. 이때 팔꿈치는 앞으로 바르게 펴야 합니다. 이때 무리하지 않고 개인의 능력과 상황에 맞게 올리면서 약간 당기는 듯한 느낌이 있을 때까지 올린 후 3-5초 후 다시 천천히 내립니다. 이 동작을 5-10회 반복하십시오.
옆으로 올리기 양쪽 팔꿈치를 똑바로 펴고 옆으로 천천히 올리는 동작으로 이때 무리하지 않고 개인의 능력과 상황에 맞게 올리면서 약간 당기는 듯한 느낌이 있을 때 까지 올린 후 3-5초후 다시 천천히 내립니다. 이 동작을 5-10회 반복하십시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술한 팔이 이전의 운동범위까지 될 수 있도록 서두르거나 무리하지 않게 꾸준히 노력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자세의 이상, 목이나 어깨의 강직, 요통 등을 예방하실 수 있습니다.
- 5단계 : 복식호흡 마지막으로 처음과 같이 복식호흡을 시행합니다. 먼저 숨을 코로 들여 마시고 입으로 뱉습니다. 이때 숨을 들여 마실 때는 아랫배가 볼록 나오게 숨을 뱉을 때는 아랫배가 들어가게 합니다. 이 동작을 10회 반복하십시오.
수술 후 운동 : 유방암 수술 후 2~3개월 이후에 시행합니다.
- 준비내용 수술 받은 쪽 주먹을 쥐었다 폈다를 반복합니다.
- 의자에 똑바로 앉은 자세에서 의자의 양 옆모서리를 양손으로 가볍게 쥡니다.
- 수술 받은 쪽 팔과 손바닥을 곧게 편 상태로 서서히 옆으로 들어 올립 니다.
- 팔이 귀에 닿는 순간 팔꿈치를 구부려 반대쪽 귀에 손끝이 닿게 합니다.
- 팔을 편 상태로 천천히 처음의 자세로 되돌아 옵니다. (양쪽 팔을 번갈아 실시)
- 똑바로 선 자세에서 발을 어깨 넓이 만큼 벌리고 양손을 하복부쪽에서 가볍게 깍지 낍니다.
- 깍지 낀 채로 양팔을 서서히 머리위로 곧게 들어 올립니다.
- 들어 올려진 깍지 낀 손을 머리 뒷편 아래쪽으로 내렸다가 다시 위로 올렸다를 반복합니다.
- 벽을 마주보고 선 상태에서 양팔을 곧게 펴 손바닥으로 벽을 짚습니다.
- 한쪽 손을 먼저 어깨위치까지 끌어 내립니다.
- 내려진 손을 다시 똑바로 밀어 올리면서 동시에 다른 손을 끌어내리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 바로 선자세에서 발을 어깨 넓이 만큼 벌리고 양팔을 자연스럽게 하복부 앞에 서 교차시킵니다.
- 양팔을 곧게 편 상태로 바깥쪽으로 큰 원을 그리며 머리위쪽에서 교차시킨 다음 같은 원을 그리며 팔을 내려 처음의 자세로 되돌아 옵니다.
- 바로 서서 양팔을 곧게 편 상태에서 나란하게 어깨높이 만큼 앞으로 들어 올립니다.
- 반동을 주어 양팔을 나란히 뒤쪽으 로 이동시키면서 양 무릎을 가볍게 구부려 줍니다.
- 다시 팔을 앞으로 이동시킬 때는 무릎을 곧게 펴줍니다.
- 발을 어깨 넓이만큼 벌리고 선 상태에서 양팔을 옆으로 수평 되게 곧게 폅니다.
- 양 팔꿈치를 자연스럽게 구부려 머리 뒤쪽에서 양손을 깍지 낍니다.
- 양 팔꿈치를 손목이 옆 머리에 밀착될 때까지 앞으로 힘주어 밀었다가 다시 팔꿈치를 뒤쪽으로 천천히 이동시킵니다.
- 바로 선 자세에서 양 발을 벌리고 양팔은 옆으로 수평 되게 폅니다.
- 팔을 곧게 편 상태에서 손끝에 원이 그려질 수 있도록 팔을 돌려줍니다.
- 반대 방향으로도 같은 방법으로 돌려줍니다.
- 바로 선 상태에서 발을 어깨 넓이 만큼 수건을 60-80cm 간격 띄워 양손으로 팽팽하게 잡은 다음 머리위로 팔을 곧게 펴 세웁니다.
- 이동하는 쪽의 팔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며 한쪽 옆으로 양팔을 동시에 천천히 넘깁니다.
- 팔을 곧게 세운 처음의 자세로 천천히 돌아왔다가 반대 방향으로 같은 동작을 취합니다. 이때 수건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반응형
'assistant nurse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 빈혈, 임산부 빈혈시 헤모글로빈 수치 (0) | 2018.02.20 |
---|---|
간호조무사 시험 - 응시표 출력 (0) | 2018.02.13 |
간호 조무사 - 부분폐절제술 후 흉관 삽입과 관리 (0) | 2018.02.08 |
간호조무사 - 등장성 운동 VS 등척성 운동 (0) | 2018.02.07 |
간호조무사 의료폐기물 정의 (0) | 2018.02.06 |